본문 바로가기

제이크의 과학수업55

선조들의 지혜가 숨어 있는 발명품, 정약용의 거중기 1. 정약용의 거중기 1789년, 정약용은 사도세자의 묘를 수원으로 옮기기 위해 한강에 놓을 배다리를 설계하라는 어명을 받게 됩니다. 배다리는 수십 척 또는 수백 척의 배를 띄어 놓고 그 위에 넓은 판지를 깔아 판지 위로 걸어 다닐 수 있게 만든 다리입니다. 당시 조선에는 한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없었기 때문에 배를 이용해 배다리를 만들었습니다. 정약용은 뚝섬에 배다리를 놓아 사도세자의 묘를 옮기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때 축적한 기술을 바탕으로 1795년 노량진에 배다리를 놓아 대규모 왕실 행렬이 수원을 방문할 수 있었습니다.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기록한 책인 에는 이 배다리로 말 779필과 인원 1779명이 건넜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정약용의 또 다른 업적에는 수원 화성 축조가 있습니.. 2022. 12. 10.
완전 채식은 어린이들에게 안전할까? 1.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비건 인구 채식주의자(Vegetarian)는 동물성 식품을 제한하고 과일·채소·곡물 등의 식물성 식품만을 섭취하는 식습관을 가진 사람들을 일컫는다. 때에 따라서는 어류를 섭취하거나 난류(알), 유지방 등을 섭취하는 채식주의자도 있지만, 육류, 가금류, 어류를 포함하여 유제품까지도 섭취하지 않으며 해조류와 과일 및 채소만 섭취하는 사람들로 완전한 채식주의를 실천하는 비건(Vegan: 완전 채식자)도 있다. 비건은 소를 숭배하며 고기 없는 식단이 가능한 인도를 중심으로 퍼져나갔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인도에는 현재도 약 4억명(인도 인구의 약 40%에 해당)의 채식주의자들이 있으며 다양한 식물 요리들이 탄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채식주의자가 되는 이유는 다양하다. .. 2022. 12. 8.
물고기는 헤어칠 때 'oo'를 본다 발레나 피겨스케이팅 등 화려한 회전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선수들은 시선을 한곳에 집중하고는 한다. 회전으로 인한 어지러움을 줄이기 위해서다. 흔들리는 차 안에서 먼 곳을 지속적으로 응시하면 멀미가 줄어드는 것도 같은 원리다. 그렇다면 흐르는 물속에서 물고기들은 어떻게 안정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찾고, 헤엄칠 수 있을까? 최근 그 비결이 물고기의 시선에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울퉁불퉁 강바닥은 헤엄칠 방향 정하는 표지석 멈춰있는 기차에 탑승했을 때, 옆 기차가 움직이면 내가 움직이는 착각이 들고는 한다. 항상 출렁거리는 물속에 사는 물고기들은 우리와 달리 한 곳에서 편안하게 잠을 자기도 하고, 목적지를 찾아 헤엄쳐 이동하기도 한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진은 이 비결을 알아내기 위해 제브라피쉬의.. 2022. 12. 7.
아이언맨에겐 수트가, 손흥민에겐 이것이?? 제22회 카타르 월드컵이 개막했다. 이미 스포츠 속에 많은 과학기술이 접목돼 있다고 알려진 것처럼 축구도 역시 그렇다. 경기 자체의 과학원리부터 경기력 향상, 코칭과 전략, 심판 판정 확인까지 과학기술의 힘이 닿지 않는 것이 없을 정도다. 그렇다면 준비운동처럼 축구의 재미를 가열하기 위해 축구 속 과학기술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1. 축구공 속 과학 올해 카타르 녹색 잔디를 누비게 될 공인구는 '알 릴라(Al Rihla)'다. 아랍어로 '여행'이라는 의미를 갖는 역대 14번째 공인구이며, 기존의 어떤 축구공보다 빠르고 정확한 비행이 예측된다. 축구는 공을 가지고 하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공'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매번 올림픽마다 스타 선수 못지않게 공인구가 집중을 받고, 또 공인구 제작에 과학과 기술.. 2022.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