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초등학생들의 비만 정도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소아 비만은 어린아이가 체중이 지나치게 많이 나가는 증상으로, 자신의 체중이 신장별 표준체중보다 20% 이상인 경우를 소아 비만이라고 합니다. 과식과 운동 부족이 비만의 주원인입니다. 자신의 기초대사량보다 더 많은 열량을 섭취하면 비만으로 이어지는데, 햄버거나 치킨 등 고열량 식품을 즐겨 먹게 되면서 비만인 학생들이 늘어난 것입니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학교가 끝난 후 학원에 가게 되므로 운동할 시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밖에 나가 뛰어 노는 대신 컴퓨터 게임, TV시청 등 실내 활동을 합니다. 그 뿐만 아니라 운동할 시간이 생기더라도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운동장이나 놀이터와 같은 안전한 장소가 마땅치 않은 것도 운동 부족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아 비만이 특히 위험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소아 비만의 75~80%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고 성인병이나 성조숙증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1. 소아 비만의 75~80%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몸의 각 부위마다 다양한 세포가 있는데, 지방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를 지방 세포라고 합니다. 어른의 경우에는 살이 쪄도 새로운 지방 세포가 생기기보다 지방 세포 수는 그대로인 채 세포의 크기만 커지게 됩니다. 하지만 소아의 경우에는 새로운 세포가 많이 생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살이 찌면 지방 세포의 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지방 세포의 수가 늘어나면 쉽게 살이 찌는 체질이 되고, 어른이 되어서도 쉽게 비만이 되는 것입니다.
2. 비만인지 아닌지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간단한 계산식을 이용해 비만도를 구한 후, 비만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실제 체중과 표준체중의 차를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이 비만도입니다. 이때, 표준체중은 자신의 키에서 100을 뺀 값에 0.9를 곱해 구할 수 있고, 실제 체중이 표준체중보다 적게 나가는 사람은 비만이 아니므로 계산하지 않아도 됩니다.
비만도(%) = {(실제 체중-표준 체중) ÷ 표준체중}×100
* 표준체중=(키-100)×0.9
위의 식으로 계산한 결과가 10% 미만이면 정상이고, 10% 이상 20% 미만이면 과체중, 20% 이상이면 비만으로 판정합니다. 이 중에서도 20% 이상 30% 미만은 경도(약간)비만, 30% 이상 50% 미만은 중등도 비만, 50% 이상을 고도 비만으로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키 140cm에 체중이 45kg인 학생의 비만도를 계산해보면
표준체중은 (140-100)×0.9=36(kg)이고, 비만도는 {(45-36) ÷ 36}×100=25(%)입니다. 비만도가 25%이므로 이 학생은 경도 비만으로 분류합니다.
3. 표준체중은 어떻게 구할까요?
나이나 성별, 키에 따라 개인에게 적당한 체중을 표준체중이라고 합니다. 표준체중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는데, 보통은 보건복지부의 통계표를 사용합니다. 자신의 키에서 100을 뺀 값이 자신의 표준체중에 가깝다고 합니다. 이 방식을 브로카의 표준체중이라고 하며, 1879년에 발표됐습니다. 이 방식은 키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데 키가 155~165cm인 사람은 100을 165~175cm인 사람은 105를, 175~185dm인 사람은 110을 키에서 뺴서 구할 수 있습니다. 키가 155cm보다 작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이 방식으로 표준체중을 구할 수 없습니다.
표준체중을 구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자신의 키에서 100을 빼고 0.9를 곱하는 방법과 단위를 m로 나타낸 자신의 키를 두 번 곱한 값에 여자는 21, 남자는 22를 곱해 구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4. 비만의 정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표준체중을 알아야 합니다. 키에서 100을 빼는 방식으로 표준체중을 구하는 방법은 어린이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표준체중을 구할 때 고려할 점 5가지 알아볼까요?
º 키
º 나이
º 성별
º 활동량
º 질병의 유무와 종류
'제이크의 과학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국이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는 이유 (0) | 2022.12.03 |
---|---|
줄무늬에 담긴 많은 정보, 바코드의 원리 (0) | 2022.12.02 |
미생물의 정체를 밝혀라! (0) | 2022.11.29 |
유리 보호각으로 둘러싸인 국보 2호 (0) | 2022.11.28 |
자동차 탐구생활 (0) | 2022.11.27 |
댓글